제사
기제사
1.진설 (영신) - 대문을열고 제사상을 차린다
2.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조금 따르고 향불위에서 3번 돌린후 모사그릇에 3번 으로 나눠 붓고 빈술잔을 올리고 2번 절한다
3.참신 - 모두 2번 절한다(지방일떼) 신주모시고 할떼는 강신과 참신 순서 바꿈
4.초헌 - 제주가 술잔을 올리고 2번 절한다
5.독축 - 모두가 꿀어앉고 제주가 축문을 읽고 나서 모두가 2번 절한다
6.아현 - 돌아가며 잔을 올리고 2번씩 절을 한가
7.종헌 - 마지막 사람이 반잔정도 붓고 2번절한다
8.첨작 - 반잔 술잔에 3번붓고 제주가 2번 절한다
9.삽시(삽시정저) - 왼쪽부터 그릇 뚜껑을 열고 밥퍼는 쪽이 동똑으로 가게 숫가락을 밥에 꼿는다
젓가락 진설 머리가 왼쪽으로 제주가 2번 절한다
10.부복(합문) - 모두가 엎드려 있는다 3분이상(원래는 문을닫고 방밖으로 나가 대기)
11.계문 - 문을열고 들어온다
12.유시(낚시 헌다) - 국그릇을 물그릇(숭융)으로 바꾸고 메(밥이나 떡국)를 세번떠서 물에 말고
숫가락을 담거 놓고 모두가 고개를 숙인다
13.철시반복 - 수저를 내리고 뚜껑을 닫는다
14.사진 - 모두가 2번 절하고 지방 축문을 향로위서 불사른다
15,대문밖에 가서 배웅을 한다
16.철상 제주가 상을 물린다헌다(
17.음복
명절재사
모던 조상을 한꺼번에 제사 지낸다
술을 한번 올리고 첨작을 하지 않는다
축문을 안한다
합문 계문 헌다(진숙주) 를 하지 않는다
6 7 8 9 10 11 12번 안함 명절 제사는
제사상 차리는것이 집안마다 다 틀리다 할수 있는데
서서히 통일 되어 가는것 같다
인터넷 상에 떠도는 것들이 모순 덩어리다
북향제배-제사상을 망자쪽에서 차리는것이 아니고 산사람이 보는 관점에서 차리는것이다
아래 사진과 글들이 인터넷에 떠도는 것인데
이것은 망자쪽에서 상을 차린것이다
제사상은 살아있는 후손이 차리는것이니
후손들이 보는 시각에서 차리는것이다
사진과 글이 다르다는것을 알수 있다
홍동 백서 가 거꾸로 됬다(우리는 주욱 바로 진설해 지냄 우리제사상은 글과 같이 차림 옛날부터)
뒷줄에 좌포 우혜를 볼떼 제사상차린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이랑 아래 글이랑 맞지 않다는것을 알것이다
제수를 차려 올려 놓는 위치에도 격식이 있다.
즉, 제사 지내는 사람의 오른편을 동편이라 하고 왼편을 서쪽이라 한다.
◇ 제사상차림의 기준위치는 지방(신위)가 있는 쪽이 북쪽이다.
▷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신위의 왼쪽은 서쪽이다.
◇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즉 남자조상의 신위(지방),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신다.
▷ 합설(合設) 밥,국,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으로 한다.
◇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 한다.
▷ 반서갱동(飯西羹東) 즉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적은 중앙에 위치한다.
▷ 적전중앙(炙奠中央)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
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는다.
◇ 탕은 3열에 위치한다.
▷ 신위를 기준으로 1열은 밥과국, 2열은 적과전, 3열은 탕, 4열은 포와나물, 5열은 과일 및과 자류 순으로 놓는다.
◇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생동숙서(生東熟西)
◇ 포는 서쪽(왼쪽) 젖갈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좌포우해(左脯右해)
◇ 밤,대추,감.배의 순으로 놓는다.
▷ 조율시이(棗栗枾梨) 보통 진열의 왼쪽에서부터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놓고 있다.
◇ 흰 과일 서쪽(왼쪽) 붉은 과일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있다.
제수(祭需)란 제사에 쓰이는 제물을 말하는 것으로 제수를 갖추는데는 가정의 형편에 따라 일정할 수는 없지만 ,정성을 들여 깨끗이 차려야하며,제수를 차리는 주부나 기타 모든 사람 들도 몸을 깨끗이 목욕하고 임하는 것이 정성의 표현일 것이다. 주부는 제사 하루 전에 제사를 쓸 그릇과 기구를 잘 닦아 놓아야 한다.
메(백반)
탕(湯) 육, 생선, 굴, 대합, 두부
좌반(左飯) 미역, 콩잎, 어, 육등
숙채(熟菜) 무나물, 콩나물, 숙주나물
침채(沈菜) 동치미
포(脯) 북어, 건대구, 건상어, 오징어, 육포 등
저채(菹菜) 생김치
어물 생선
육물 간회 또는 천엽, 육회
혜 식혜
적(炙) 육, 생선 등으로 만들고 5 ~7 꼬챙이를 쓴다.
병(餠) 떡
조과 (造果) 유과 또는 엽과 등을 쓴다.
과실 (果實) 밤, 대추, 곶감, 배, 은행 등을 쓴다.적으면 세가지, 많아도 다섯가지 이상을 쓰지 않는다.
청장 (淸醬) 간장을 쓴다.
작 초를 쓴다.
※ 제수에는 마늘과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다.
제수를 차려 올려 놓는 위치에도 격식이 있다.
즉, 제사 지내는 사람의 오른편을 동편이라 하고 왼편을 서쪽이라 한다.
'좌포우혜'라 하여 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편에 놓는다.
'어동육서'라 하여 어물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두동미서'라 하여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여 놓는다.
삼치, 꽁치, 칼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과 복숭아는 제사상에 놓지 않는다.
'홍동백서' 라 하여 과일이나 조과의 붉은 색은 동쪽으로 놓고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 라 하여 동편에서부터 대추, 밤, 배, 감순으로 놓으며 그외의 과일은 순서가 없다.
제사는 본래 돌아가신 날 이른 새벽에 지내도록 되어 있으나 오늘날은 자정이 조금 지나면 지낸다. 즉, 새벽 한시경에 지내는 것이 엄숙한 분위기일 것이다.
※ 진설이 순서
- 시첩(수저),잔반 (술잔. 메. 탕)을 신위앞에 놓고 다음에 앞줄에서부터 차례로 놓아간다.
@@@@@@@@@@@@@@@@@@@@@@@@@@@@@@@@@@@@@@@@@@@@@@@@@@@@@@@@@@@@@@@@@@@@@@@@@@@@@@@@@@@@2
제사 지내는 법과 상차리는것은 지방 문중 마다 각기 다르겠지만 세월이 흘러
점점 제사 지내는법과 상차리는 방법을 모르는 후대가 늘어나고 있다
위에 글들은 가장 보편적인 상식인데 몰지각한 사람들 학자들은 이상하게 글들을 해석해서 상을 차려놓았다
위 사진을 보면
중요한건 제사 지내는 방법이나 상차림이 아니고 후손들의 마음 가짐일 것이다